KDI, 환율 1,500원 돌파 시 물가 0.24% 상승 경고

2025-04-29 15:45
 최근 강달러 현상에 따른 원·달러 환율 상승이 소비자 물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이 나왔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연구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이 1500원까지 상승할 경우 소비자 물가는 0.24%포인트(p)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그러나 연구진은 환율 변동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며, 국내 요인에 의한 물가 상승이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했다.

 

KDI는 "최근의 환율 변동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원·달러 환율 상승이 단기적으로 수입품 가격을 높여 소비자 물가에 일정한 상방 압력을 가한다고 밝혔다. 예를 들어, 원·달러 환율이 1%p 상승하면 수입품 가격은 0.49%p 상승한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환율 상승 효과는 점차 축소되며, 1년 후에는 0.25%p로 물가 상승 폭이 줄어든다고 설명했다. 반면, 국내 요인으로 인해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면 수입품 가격은 초기보다 더 큰 폭으로 상승하며, 1년 후 누적 상승 폭은 0.68%p에 이를 것으로 분석됐다.

 

KDI는 특히 강달러 현상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지난해 4분기,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인해 소비자 물가는 0.31%p 상승했으며, 그 중 0.20%p는 강달러 현상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 1분기에는 환율 상승에 따라 소비자 물가 상승분이 0.47%p로 확대됐다. 강달러 현상이 지속될 경우, 2분기에는 원·달러 환율이 1500원까지 오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비자 물가는 4분기까지 0.24%p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상승 폭은 점차 축소될 것으로 전망됐다.

 

마창석 KDI 연구위원은 "1분기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2.1%를 기록한 가운데 수요 압력이 여전히 낮다"며, "원·달러 환율이 1500원에 도달하더라도 물가 상승률이 물가안정목표인 2%를 크게 초과할 가능성은 낮다"고 설명했다. 또한, KDI는 2분기 환율이 1400원으로 내려간다면 물가는 0.29%p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며, 환율 상승과 하락 시나리오에 따라 물가 변동을 예측했다.

 

 

 

KDI의 연구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이 달러화 요인으로 상승할 경우 소비자 물가는 단기적으로 0.19%p까지 상승한 후 점차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국내 요인에 의한 환율 상승은 0.24%p까지 상승하며, 이후 하락할 것으로 예측됐다. 하락 시나리오에서는 2분기부터 물가 상승이 둔화되며, 환율이 1400원으로 내려가면 물가가 0.44%p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KDI는 환율 변동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그 원인에 따라 대응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준형 연구위원은 "달러화 요인으로 환율이 상승할 경우 그 영향은 단기적일 수 있기 때문에 통화정책을 신중히 수행할 필요가 있다"고 말하며, "환율 상승이 장기간 지속되거나 국내 요인의 영향이 커지면 물가 상승 압력이 지속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결론적으로 KDI는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지 않으면 올해 물가 상승률이 정부의 물가안정목표인 2%를 유의미하게 초과할 가능성은 낮다고 밝혔다. 연구위원들은 "환율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기보다는 환율 변동의 원인과 지속성을 고려하여 거시경제 정책을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언했다.

 

또한, 한미 통상협의와 관련해 김준형 연구위원은 "미국이 원화 가치를 절상시키기 위해 어떤 방식으로 접근할지에 따라 두 가지 다른 경제적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며 "이를 면밀히 살펴보아야 한다"고 말했다.